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영주를 방문하는 분이라면 꼭 들르는 사찰이 있습니다. 신라고찰로 역사가 깊은 부석사의 창건설화와 의상대사가 펼친 화엄종 사상,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인 무량수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부석사 창건 설화

    부석사는 신라 문무대왕 16년(676년)에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로서,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 중턱에 있습니다. 부석사는 특히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 부석존자라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 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합니다. 부석사의 이름을 직역하면 '땅에서 뜬 돌'이란 뜻인데, 이는 의상이 부석사를 창건할 때의 설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의상은 원효와 함께 당나라 유학을 떠났는데, 도중에 원효는 해골물을 마신뒤 깨달음을 얻어 다시 신라로 돌아갔고, 의상은 혼자 당나라에 유학을 갔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의상이 신라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게 했고, 절터까지 따라와서 절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었다고 합니다. 본래 이 절터에는 사교의 무리가 모여 있었는데, 의상이 이곳에 절을 세우려고 하자 선묘가 무거운 바위를 사교의 무리들의 머리 위로 띄워 이곳에 절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 바윗돌이 부석사 뒤뜰에 잇는 큰 바위인데, 지금도 땅에 살짝 떠 있어서 바위 밑으로 줄을 넣으면 통과된다 합니다. 그래서 절 이름이 뜰 부, 돌 석을 써서 부석사라고 전하고, 이 설화에 따라 부석사에는 선묘에게 제례를 지내는 선묘각이 있습니다.

     

    부석사의 역사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알고 싶은분은 아래의 내용을 보고 가실께요!

     

     

     

     

    의상의 화엄종

    화엄종은 중국 당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천태종(天台宗)과 함께 중국 불교의 쌍벽을 이루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시대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다녀온 뒤, 처음 들여왔고  화엄종은 ‘원융’이라 해서 조화의 사상을 강조했습니다. 신라 왕실과 진골 귀족층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대립이나 지배층 내부의 대립을 막기 위해 이 원융 사상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균여가 화엄종을 크게 일으켰으며, 의천은 화엄종 위주의 교종을 중심으로로 선종을 통합시켜 천태종을 창시했습니다. 의상 이전에 이미 신라에는 ≪화엄경≫이 신행, 연구되기는 하였으나, 체계적인 화엄교학의 계통이 이루어지기는 의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어서 사람들은 의상을  신라 화엄종의 시조라 불렀습니다.

     

     

     

    무량수전전 황금비율의 비밀  https://www.youtube.com/watch?v=Zhz6PSllRPU👆

    황금비율 무량수전
    황금비율 무량수전

     

    무량수전 - 숨겨진 건축비법 

    부석사 무량수전은 1376년에 중수된 목조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8호이며,  경북 안동의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입니다.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된 목조건물로 단층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만들어진 주심포 양식의 건물로 고려시대에 볼 수 있는 양식입니다. 불교도들의 소원은 극락왕성하는 것인데, 극락으로 가는 방법은 9개의 등급으로 사람들을 분류하여 극락으로 왕생하는 9개의 클래스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구품왕생설에 맞춰서 소백산맥의 산비탈 지형에 9개의 단을 만들어서 구품 왕생 사상을 건축화한 부석사를 지었는데 무량수전은 최상단에 위치한 극락세계라고 합니다. 오래된 건물임에도 지금껏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엔 무량수전에 숨겨진 건축비법 때문입니다. 기둥의 중간이 불룩한 배흘림기둥은 원통형 기둥에 비교해 견고하고 안정되어 보입니다.목조기둥의 재료인 소나무는 변형이 심해서 기둥으로 사용할 경우 옆으로 틀어짐 현상이 있어서 기둥 중간을 불룩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지붕은 하중이 집중되는 모퉁이의 기둥을 높인 귀 솟음 기법을 사용했습니다. 지붕을 일직선으로 만들면 시간이 지날수록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무너지기 때문에 지붕 양옆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운데 지붕보다 양옆지붕이 더 높게 만든 것입니다. 지붕이 바깥으로 기둥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므로 처음부터 기둥을 안쪽으로 쏠리게 하는 안 쏠림 기법을 사용하여 기둥이 바깥쪽으로 밀려도 시각적으로 안정되게 만들었습니다. 사찰 건축은 불교의 교리를 실재하는 것으로 표현한 것으로 부처가 있는 건축물 자체가 신앙의 대상이 됩니다. 때문에 무량수전은 건축물이지만 부처님으로 인식되어, 오래도록 불교의 전통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과학적인 건축비법을 통해 튼튼하게 지어졌습니다. 불교의 세계가 담긴 부석사의 아름다움과 경건함, 견고함 측면에서는 외국의 성당과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부석사는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부석사를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K-건축물의 매력에 푹 빠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부석사 무량수전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 네이버지식백과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부석사부석사부석사
    부석사 경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