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구룡사는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 국립공원에 자리 잡고 있는 절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입니다. 풍수적으로는 "천년이 지난 신령스러운 거북이 연꽃을 토하고 있고, 영험한 아홉 바다의 용이 구름을 풀어놓은 형상을 한 천하의 승지"입니다. 구룡사 창건에 관한 아홉 마리 용 전설, 거북바위 전설, 가람, 성보문화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구룡사 유래 - 아홉 마리 용 전설, 거북바위 전설
구룡사 이름 속에는 숨어있는 두 가지 전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의상대상 와 아홉 마리의 용에 얽힌 전설과 거북바위 전설입니다. 원래 대웅전 자리에는 연못이 있었고 그곳에는 아홉 마리 용이 살고 있었다 합니다. 의상이 절자리를 찾아 원주에서 치악산을 향하다가 지금의 구룡골에 다다랐습니다. 스님이 사방을 살펴보니 동쪽으로는 주봉인 비로봉이 솟아있고 다시 천지봉의 낙맥이 앞을 가로지른 데다가 계곡의 경치 또한 아름다워 절을 세울 만한 곳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대웅전을 세우려면 연못을 메워야 했는데 그곳에 살고 있던 아홉 마리의 용이 방해가 되었습니다. 의상은 연못을 메워 절을 지으려고 용들과 도술 시합을 했고, 용들이 먼저 솟구쳐 올랐습니다. 그러자 뇌성벽력과 함께 우박 같은 비를 쏟아냈는데 이 바람에 근처의 산들은 삽시간에 물에 잠겼습니다. 용들이 흐뭇해하며 주변을 살피니 의상이 비로봉과 천지봉 사이에 배를 매어 놓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대사는 부적을 한 장 그려 연못 속에 넣었더니 물이 부글부글 끓기 시작했습니다. 뜨거움을 참지 못한 용들이 동해바다로 달아나자 대사는 연못을 메우고 구룡사 대웅전을 짓고 절 이름을 아홉 마리용을 뜻하는 구룡이라고 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거북바위 전설입니다. 조선이 들어서면서 치악산에서 나는 산나물은 대부분 궁중에서 쓰게 되어 구룡사 주시스님이 공납의 책임자 역할을 하였습니다. 나물값을 넉넉히 받기 위해 뇌물을 바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구룡사는 물질적으로 풍성해졌지만 수양도장으로서는 몰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한 스님이 찾아와 절 입구에 있는 거북바위를 쪼개 없애면 절이 흥해질 거라 해서 그대로 했지만 이후 신도는 더욱 줄어들고 큰절로서의 명성이 줄어들었습니다. 어느 날 도승 한분이 찾아와 절 입구를 지키던 거북바위를 없앴기 때문에 거북의 혈맥을 끊어져 절의 기가 약해졌으므로 그 혈맥을 이으라고 했습니다. 거북이를 다시 살린다는 뜻에서 절의 이름을 '아홉 구'자 대신 '거북 구'자를 썼고 이리하여 지금 현판에 새겨진 대로 치악산 구룡사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가람 소개
1971년 12월 16일 유형문화재 제24로 지정된 대웅전은 전면으로 보아 기둥 위에 공포를 두고 주심포 사이에도 공간포를 배치한 다포계양식이며 팔작지붕으로 되어있습니다. 공포의 외부 제공은 강활형이 중첩되었고 양성 윗몸에는 각각 연꽃을 조작하여 화려하게 장식하였으며, 내부 제공은 하나로 연결하여 당초무늬를 가족 하였습니다. 특히 불상 위에 있는 보개는 중층으로 되어 특이합니다. 천장의 중앙부는 우물천장을, 둘레에는 빗천장을 가설하되 연꽃과 봉황. 운문. 비천상 등을 채화하여 금단청과 함께 매우 화려하고 장엄합니다. 이 불전은 공포 내. 외부의 장식적인 조각솜씨 및 구조수법 등으로 보아 1900년 대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1976년 보수단청하였습니다. 대웅전 앞 좌우에는 90여 평의 심검당, 설선당의 승사가 있고, 심검당 뒤에 서상원과 설선당 위에 요사가 있습니다. 정면에는 보광루가 있는데, 내부 바닥에는 짚으로 만든 우리 고유의 멍석을 깔았습니다. 이 밖에도 삼성각, 범종각, 원통문, 국사단, 사천왕문, 응진전 등이 있습니다. 절 입구에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부도 군이 있고, 대웅전 내의 닻집이 유명합니다.
성보문화재
우리나라 전역에는 수많은 불교 성지와 문화재가 있습니다. 현재 국보와 보물,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대다수의 민족문화재가 불교의 성보입니다. 불교문화재는 민족 문화유산이면서도 불자들이 경건한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불교인의 성보이자 한국불교문화의 정수입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겹처마에 팔자지붕으로 다포식 단층건물인 대웅전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창호는 정저살창을 짜서 각 각 사분합의 문을 달았고, 내부의 바닥은 마루를 깔아 놓았습니다 안에는 삼존불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천불상을 봉인하고 불단의 오른쪽 벽면에는 감로탱화와 산중탱화가 걸려있습니다. 이곳 대웅전에는 비지성성보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 신중탱화, 대웅전 감로탱화, 대웅전 불단, 대웅전 편액이 있습니다. 신중탱화는 불법을 수호하는 여러 선신을 도상화한 그림으로 많은 신들을 배치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구도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제석과 하늘의 군사인 천룡을 중심으로 주위에는 무장을 한 신중들을 배치했습니다. 이 신중탱화의 역할을 그 범위를 넓혀 참배자의 심성에 내재한 잡신들을 쫓아내고 인간심성에 청정함을 갖게 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것입니다. 감로탱화는 조상 숭배 신앙이나 영혼 숭배의 신앙이 그림으로 펼쳐진 것입니다. 이것은 '우린 분경변상도'라고도 부르며, 혹은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신 영가가 놓인 영가단에 걸기 때문에 '영단탱화' 또는 '감로왕탱화'라고 부릅니다. 삼세불을 모시고 있는 불단은 현재불을 상징하는 석가불좌상, 오른쪽에는 미래불인 아미타좌상, 왼쪽에는 과거불을 상징하는 약사불좌상이 있습니다. 주존으로 모신 석가불은 연화좌에 결가부좌하여 향촉지인을 결하고 있습니다. 사각형의 얼굴에 눈은 반개하고 둥근 육계에는 계주가 박혀있습니다. 양쪽에서 협시를 이루는 불좌상은 손가 짐만 반대 방향으로 같은 형식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대웅이란 위대한 영웅이란 뜻으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표현한 말입니다. 즉 큰 힘으로 사마를 항복시킨다는 뜻에서 붙여진 부처님의 덕호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마치면서
원주 구룡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역사가 긴 사찰로 귀중한 문화유산이 보존되어 있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합니다. 봄에는 아름다운 꽃을, 여름에는 푸른 신록을, 가을에는 멋진 단풍을, 겨울에는 새하얀 절경을 보러 오는 방문객들이 많습니다. 2023년 5월 4일부터 관람료가 면제된 이후로는 차를 타고 구룡사 입구까지 입장이 가능해져서 접근성이 좋아졌습니다. 구룡사의 고즈넉한 풍경과 구룡사가 운영하는 템플스테이를 체험하면서 힐링의 시간을 가져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