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봉정사 창건
봉정사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천등산에 있는 사찰로,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대사가 창건하였습니다. 천등산은 원래 대망산이라고 불렀는데, 능인대사가 젊었을 때 대망산 바위굴에서 도를 닦고 있던 중 스님의 꿋꿋함에 감복한 천상의 선녀가 하늘에서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 주었으므로 '천등산'이라고 이름을 바꾸고 , 그 굴을 '천 등 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뒤 능인대사가 종이로 봉황을 접어서 날렸는데 그 봉황이 지금의 봉정사 자리에 앉았다고 합니다. 이곳에 절을 세우고 '봉황이 앉은자리'라는 의미로 이름을 봉정사라고 지었다 합니다. 안동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사찰이며, 영주 부석사와 함께 화엄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대표적인 화엄사찰로 유명합니다.
목구조 건축박물관
봉정사가 세상의 주목을 받은 것은 1972년 봉정사 극락전을 해체하고 복원하는 공사를 진행할 때 고려시대 공민왕 12년의 1363년에 극락전을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담긴 상량문이 발견되면서부터입니다. 목조건축물을 대략 150년마다 중수한다고 가정하면, 극락전은 적어도 1200년대 초반에 건립된 건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때부터 부석사 무량수전이 가지고 있던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라는 명성을 봉정사 극락전이 누리게 되었습니다. 현재 이 절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로 알려져 있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봉정사 극락전을 비롯하여,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조선 초기 건물인 봉정사 대웅전, 1967년 보물로 지정된 조선후기 건축물인 봉정사 화엄강당과 봉정사 고금당 등의 지정문화재가 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 목조건축물의 계보를 고스란히 간직해 왔기 때문에 목구조 건축물 박물관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1999년 4월 '엘리자베스 2세' 영국여왕의 방한 당시, 가장 한국적인 건축물을 보고 싶다는 희망에 따라 여왕을 봉정사로 안내했고, 그 때문에 국내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엘리자베스여왕은 양쪽으로 우거진 소나무 숲길을 지나갔는데, 그 후 이 소나무 숲길은 '퀸즈로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합니다. 2019년 5월에는 앤드루 왕세자도 방문했는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인 어머니가 보고 간 봉정사 곳곳을 들러봤는데, 당시 왕세자는 범종이 울리고 난 소리의 여운을 들으며 오래 심취했다고 합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2018년 6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으로 지정되었는데,서원(절)으로 표기하는 대신 '산사'라는 명칭으로 표기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산사는 한반도 남쪽 지방에 위치한 통도사 ,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등 7개의 산지승원을 일컫는 것입니다. 7세기에서 9세기에 창건된 이들 7개 사찰은 신앙과 수행,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한 한국불교의 역사적인 발전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한국 선불교의 특징인 자급자족이 가능한 사찰 관리, 승려 교육, 수행과 교리 학습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의 무형적, 역사적 측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내에는 한국의 다양한 불교신앙이 수용되어 있으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다수의 구조물과 전각, 유물, 문서 등은 한국 불교의 포용적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산사는 조선시대 억압과 전란으로 많은 손상일 입었으나 오늘날에도 신성한 장소로서, 신앙과 일상적인 종교적 실천이 살아 있는 곳으로 인정받았기 때문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당당히 오른 것입니다.
유네스코에 지정된 한국의 세계유산, 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 찾아보기 ↓ ↓ ↓
한국의 10대 정원 - 영산암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26호로 지정된 영산암은 봉정사 부속 암자 중 하나로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영산이란 인도 영취산을 이르는 말로 석가모니 부처님이 법화경을 강설하던 곳이며 그때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인 우화루를 현액으로 달고 있습니다. 영산암은 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영화 <나랏말싸미>를 촬영한 곳으로 유명한 암자입니다. 6동의 크고 작은 건물들이 미음자로 건물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사찰이 지닌 전통적인 구조이며 지형이 갖는 자연적인 높이를 그대로 활용해 3단의 마당 구성과 우화루 벽체를 없애고 송암당과 누마루로 연결해 공간 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이합니다. 중정의 바위와 소나무 등 공간이 주는 아름다움과 다양한 표정으로 보여주는 안마당은 일상의 편암함을 보여주는 미학이 깃든 곳이어서 한국의 10대 정원으로 불립니다. 엄숙한 사찰의 모습이라기보다는 마치 유교사회 선비들의 생활공간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는 유교와 불교문화가 섞여있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